Login

페이지 정보

작성자최고관리자

본문

웰에이징센터 정의의 재조명

플라톤의 "국가"에서는 정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한다.

 

즉 배분 정의의 실현 방도를 위한 사고 실험에서 한개의 파이를 고루 나누어 먹기에서

어떻게하면 정의롭게 불만없이 셋이서 골고루 나누어 먹을 수 있을까

해답은 분배를 하기 위해 나누는 사람이 제일 나중에 먹으면 최대한 공평할 수 있다

이 말에서 정의는 좀 크던 작던 불평을 없도록 하는 것은 나누는 방법논에 달렸음을 알 수 있다

따라서 정의로운 사회의 구성원은 정의로와야 하는가 했을때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. 

 

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하는 논지에서는 정의의 문제의 접근하는 여러 방식을 검토 하였는데

여기에는

1. 공리주의적 접근-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

2. 법칙주의적, 계약주의적 접근- 자유주의적 정의와 전통적으로 윤리의 문제가 아니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옳고 그름의 문제다. 의무사항

3. 공동체 주의적 접근-한 공동체가 공통적으로 좋다고하는 것-공통적인 가치관이 있어야 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미국이 이쪽으로 접근하고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부터 유래됨

 

자유주의의 일반적인 특징은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 권력의 개입폭을 최소화 하려함

근세이후 서양의 정치철학적 입장은 자유주의의 적용 범위와 폭에 의해 자리매김 됨

-자유방임주의화 전체주의 그 사이 보수와 진보의 여러 스펙트럼이 있다.

 

자유주의의 한계와 공동체주의

 

정의와 공동선(善)

-센델의 입장은 국가, 사회제도의 운용 목적이 공동 선의 실현에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윤리사상을 수용하여 정의의 문제를 선(좋음)의 문제와 연결

 

이태수 교수의 강의 중에서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Total 268 [ 22 / 23 Page]

Search